본문 바로가기

직업 정보/산업기사 자격증

화훼장식산업기사 취업 전망(필기 기출문제/실기 합격률)

반응형

생활환경의 향상으로 인해 화훼산업이 빠른 속도로 생활필수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화훼를 이용한 장식품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고도의 전문성과 프로정신을 보유하고 있는 인력들을 관리하고 통제할 전문가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화훼장식산업기사의 취업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훼장식산업기사 취업 전망
필기 기출문제/실기 합격률

 

1. 화훼장식산업기사 자격증

자격명 : 화훼장식산업기사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영문명 : Industrial Engineer Floral Design
관련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화훼장식산업기사는 화훼류를 주재료로 화훼장식디자인, 상품제작, 상품기획 홍보, 매장운영 등 화훼장식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직무입니다. 화훼의 기능성과 역할이 커지면서 꽃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로인해 전문가의 필요성과 도소매 꽃가게 운영의 현대화, 화훼장식 이용의 과학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화훼관련 자격으로는 화훼장식기능사, 화훼장식기사가 있었으나 2019년 화훼장식산업기사가 새롭기 신설되었습니다.

 

 

2. 화훼장식산업기사 응시자격

- 응시자격 : 응시자격있음 / 기술자격소지자, 관련학과 전공자, 순수경력자(실무2년)

화훼장식산업기사 응시자격
화훼장식산업기사 응시자격

 

- 시험 수수료

 

필기 19,400원

실기 25,600원

 

 

 

3. 필기, 실기 합격률

- 화훼장식산업기사 합격률

화훼장식산업기사 합격률
화훼장식산업기사 합격률

2021년 화훼장식산업기사 필기합격률 88.3%, 실기합격률 40.7%

2020년 화훼장식산업기사 필기합격률 89.3%, 실기합격률 44.4%

2019년 화훼장식산업기사 필기합격률 84%, 실기합격률 0%

 

- 화훼장식산업기사 필기시험

시험과목 : 화훼장식기획 및 매장관리, 화훼장식 상품제작, 화훼디자인

시험시간 : 1시간 30분

시험방법 : 객관식 60문항

합격기준 : 100점 만점으로 60점이상

필기시험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후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 면제

 

- 화훼장식산업기사 실기시험

시험과목 : 화훼장식 실무

시험시간 : 2시간 정도

시험방법 : 작업형

합격기준 : 100점 만점으로 60점이상

 

- 화훼장식산업기사 기출문제/출제문제

화훼장식산업기사 출제기준(2022.1.1._2025.12.31.).hwp
0.03MB
[공개문제]화훼장식산업기사.pdf
0.11MB

 

 

4. 화훼장식산업기사 취업과 전망

 

화훼장식산업기사는 호텔, 은행 등 대형건물의 그린인테리어 등에 취업이 가능하며 조경회사, 골프회사, 화훼 종묘회사, 화훼육묘회사, 화훼경매시장 등에 취업이 가능합니다. 실내조경가, 코디네이터, 사이버플라워디자이너, 이벤트행사기획가, 디스플레이 전문업, 화훼 장식소재 제조업, 화훼장식소재판매, 화훼유통업 등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꽃꽂이 학원의 경영 화훼 관련 기능경기대회 관리 및 심사위원과 각종 교육기관에서 강사활동이 가능합니다.

 

 

 

신발산업기사 취업 전망(필기 기출문제/실기 합격률)

신발산업기사 자격증은 전통 산업이지만 갈수록 기능성과 디자인 등이 중요해지는 추세를 반영하여 디자인과 과학적 사고에 바탕을 둔 전문개발인력입니다. 신발산업기사의 취업과 전망에 대

kkiyoungee.tistory.com

 

보석감정산업기사 취업 전망(필기 기출문제/실기 합격률)

보석감정산업기사는 생활환경의 변화로 보석소비가 늘어나면서 보석감정에 대한 전문화된 기술인력이 필요함에 따라 자격증이 제정되었습니다. 보석감정산업기사의 취업과 전망에 대해 알아

kkiyoungee.tistory.com

 

보석디자인산업기사 취업 전망(필기 기출문제/실기 합격률)

최근에는 진짜 보석이 아닌 중저가의 인조보석을 이용하여 생활용품에 디자인이 가미된 주얼리를 찾는 사람들이 많이 있으며 개별적으로 일종의 작품으로서 주얼리를 제작하고 판매하는 디자

kkiyoungee.tistory.com

 

 

다른 사람들이 많이 본 콘텐츠